-
리눅스 명령어 정리활동/42서울 2021. 9. 20. 15:28
1.
https://gomguard.tistory.com/73
02. 꼭 알아야 할 리눅스 기본 명령어 10가지
꼭 알아야할 리눅스 기본 명령어 10가지 1. ls - 현재 위치의 파일목록을 조회하는 명령어 2. cd -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3. touch - 파일의 용량이 0인 파일을 생성, 날짜 변경하는 명령어 4. mkdir
gomguard.tistory.com
2. touch 한 파일에 원하는 대로 글을 쓰는 명령어느 vi 나 vim 이다. (i를 눌러야 수정 모드이고, esc를 누르면 수정 모드가 끝나고, :wq 를 해야 저장하고 나오는 것이고, :q! 를 하면 그냥 나오는 것이다.
*** 새로 알게된 것들 ***
1. cat .... | grep "문자열"
"문자열" 이 포함된 줄만 출력해준다.
2. ln : 하드링크를 만드는 명령어 , ln -s : 심볼릭 링크를 만드는 명령어
ln -s 기존파일 새로운파일 -> 새로운파일을 기존파일에 심볼릭 링크 하며 생성
ls -l 해서 보여지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링크 수에 유의하자.
3. cat ... | tr "ab" "cd"
앞에 있는 문자를 뒤의 문자로 전환한다. a는 c로, b는 d로 전환된다.
cat ... | tr -d "ab"
a 와 b를 모두 삭제하여 출력
4. cat ... | sed "s/abc/de/g"
s 는 문자열을 치환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.
줄에 있는 abc를 de로 치환한다. 그런데 한 줄만 한다. 그러니 글로벌하게 (매 줄마다) 되려면 g 를 붙여줘야 한다.
5. cat ... | awk '{print $2}'
블럭 단위로 하여 출력해준다. 2번째 블럭만 출력해준다.
6. cat ... | awk '{ if ( NR % 2 == 1 ) print }'
NR : 라인 수. 1부터 시작
라인 수가 홀수라면 출력해주세요.
7. klist
나의 Kerberos ticket을 확인한다. 시험에도 필요하니 이 명령어는 외우고 들어가자. 다른건 필요 없음
8. touch -t
touch -t 202109201111 파일이름
파일의 접근 시간, 수정 시간을 2021년 9월 20일 11시 11분으로 바꾼다.
9. ls -m -p -t -U
-m : 쉼표로 본다
-p : 디렉토리 뒤에 / 붙이기
-t : 수정 시간 순서대로
-t -U : 수정 시간대로가 아닌 생성 시간 순서대로
10. git log --pretty
git log : 깃 로그 정보를 본다.
--pretty=%H -> 키만 본다 (%H 와 같은 표현식이 여러개 있으니 확인)
-n : n개만
11. diff a b > hi.txt
a와 b를 비교한 결과로 hi.txt 를 만들 수 있다.
diff가 알려주는 내용을 확인 ex) 1,3c4,5 : 1-3번째 줄이 4-5로 change 되어있음.delete는 d
12. find .
현재와 하위 디렉토리에서 모두 찾음.
- type f : 파일만
- type d : 디렉토리만
\( -name "정규표현식" -o -name "정규표현식" \) : 찾는 조건이 2개인 경우
-print : 출력해라
-delete : 그리고 지워라
13. 매직파일
(0부터 시작)몇 번째에 '띄어쓰고' 어떤type으로 '띄어쓰고' 뭐라고 적혀있으면 '띄어쓰고' 무슨 파일이라고 인식해라.
14. groups 내 사용자 이름
내가 속한 그룹들 출력
15. basename
끝에 파일명만 출력해라
16. wc 파일
파일의 줄 수, 단어 수, 바이트 수를 출력한다.
-l : 라인 수만 출력
17. ifconfig 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
-a : 비활성화 된 것도 다 보여주세요
18. echo -n 블라블라 > 파일
여백 없이 파일에 입력
19. cat ... | cut -d '문자' -f 숫자
문자를 딜리미터로 하여 (문자 별로 단어를 끊어서)
몇 번째를 출력해주세요.
20. export 환경변수이름=값
띄어쓰기 하지 않기! 그냥도 선언할 수 있지만 export를 통해 전역변수로 설정해주어야 다른 명령어로도 확인 가능
21. | xargs
파이프 라인 앞의 내용을 맨 뒤의 인자로 받기
22. echo "ibase=n; obase=m; 숫자" | bc
n진수를 m진수로(n진수 기준) 바꿔서 계산(bc) 해주세요
'활동 > 42서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팔만코딩경 contributor 되다 ! (0) 2022.02.10 Makefile 예시 (0) 2022.02.05 42서울 라 피신(La Piscine) 합격 후기 (0) 2021.11.04